[카카오로그인] REST API 카카오 로그인 구현 1

2021. 10. 10. 17:19

카카오 로그인 기능 적용해보기. 카카오 개발 가이드를 토대로 기능을 작성해본다.

 

Kakao Developers

https://developers.kakao.com/docs/latest/ko/kakaologin/prerequisite

 

Kakao Developers

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. 카카오 로그인, 메시지 보내기, 친구 API,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.

developers.kakao.com

카카오 로그인이 진행되는 과정

출처 : kakao developers

  • 사용자가 앱에서 카카오 로그인 버튼을 클릭한다.
  • 사용자가 [카카오톡으로 로그인]을 선택하면 카카오톡 실행 또는 실행 중인 카카오톡으로 연결되고, [다른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]을 선택하면 직접 계정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된다. 카카오톡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기나 PC 웹 환경에서는 직접 계정 정보를 입력하여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하게끔 진행된다.
  • '카카오톡으로 간편로그인' 한 경우, 카카오톡에 연결된 카카오계정의 자격정보(Credentials)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한다. 직접 카카오계정을 입력해 로그인한 경우에는 해당 계정의 자격정보로 인식한다.
  • 자격정보가 올바르다면 카카오 로그인 동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기능 활용 동의를 받는다.
  • 사용자가 필수 항목에 동의하고 로그인을 요청하면 인가 코드(Authorization Code)가 발급된다. 이 코드는 앱 정보의 Redirect URI에 전달된다.
  • 앱은 전달 받은 인가 코드를 기반으로 토큰을 요청하고 받는다.

REST API 카카오 로그인은 인가 코드 받기, 토큰 받기의 두 단계를 거친다.

먼저 인가 코드를 받고, 그 인가 코드로 토큰을 요청해야 한다.

 

  • 우선 카카오 디밸로퍼에 들어가 로그인을 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해 준다. 나는 login이라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만들었고 이름은 그냥 student로 했다. 


  • 여기서 REST API로 할거기 때문에 REST API키가 필요하고, 저 플랫폼을 설정해주러 가야한다.
  • 웹으로 할거기 때문에 Web플랫폼 등록을 선택하고 현재 테스트를 위해 http://localhost:8282를 사용하고 있어서 이 주소를 적어주었다.


  • 그 다음 밑에 있는 Redirect URI를 등록하러 가서 상태를 활성화로 설정 해주어야 한다.


  • 그 다음 왼쪽 상단의 메뉴바에서 제품 설정 > 카카오 로그인 > 동의항목에 들어가서 프로필정보 부분을 필수 동의로 한다. 동의 목적은 '소셜 로그인 테스트를 위한 동의'로 하기.

BELATED ARTICLES

more